정보창고/잘하고 싶다 '파워포인트'

당신의 파워포인트를 살릴 '명조체' 폰트 5개 추천!

일상의시인 2021. 1. 29. 07:44

지난 포스팅에는 파워포인트의 완성도를 높여줄 '고딕체'를 추천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는 '명조체'를 추천하겠습니다.

선 끝 마다 굴곡이 있어 보는 이로 하여금 편안한 느낌을 주어서 명조체는 편지/책/신문과 같이 긴글을의 가독성을 높이는데 사용되는 폰트입니다.  명조체는 자칫 잘 못 사용하면 굉장히 올드해보일 수 있기 때문에 고딕체보다는 사용하시는데 까다롭습니다.

폰트를 추천하기 전에 (주의 사항)

반드시 폰트의 사용범위를 확인하고 사용하시는 거 잊지 않으셨죠?

 

명조체 폰트 추천

1) 조선일보 명조체 / 신명조체

고딕 폰트 중 가장 좋아하는 폰트입니다. 조선일보에서 발행한 폰트인데요 명조의 느낌을 가장 잘 살린 폰트가 아닐까 싶어요. Kopub고딕과 조합이 좋아요. (물론 다른 고딕과 조합도 좋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조선일보 명조체가 / 신명조체 보다 더 좋습니다. 신명조는 왠지 현대적 감성이 들어가서 올드한 갬성을 표현하지 못하는 것 같거든요!

 

조선100년체 - 조선닷컴

1920년 조선일보 지면 글꼴을 재해석한 조선100년체를 공개합니다.

event.chosun.com

 

2)제주명조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발행한 폰트입니다. 제주도를 대표하는폰트를 통해 관광객들에게 시각적인 친근감을 주기 위해 개발한 폰트입니다.

제주도의 갬성을 잘 담았다고 생각이 들어요 :0 제주도 관련사진을 표현할 일이 있따면 이 폰트를 사용한다면 좋은 것 같아요. 제주고딕체가 있긴 하지만 역시 고딕보다는 명조가 갬성을 잘 나타내는 폰트입니다.

 

제주특별자치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실

제주특별자치도 코로나19 상황실

www.jeju.go.kr

 

3)리디 바탕체

전자책 전용 글꼴로 개발된 리디바탕체 입니다. 전자책의 가독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개발된 만큼 모니터 및 스마트 폰에서도 선명해 가독성이 좋습니다.

볼드처리를 하지 않아도 기본 두께가 굵은 편이라 굳이 볼드를 하지 않아도 될 정도입니다. 여담으로 리디의 뜻은 Rich Imagination, Deep Insight로 풍부한 상상, 깊은 통찰로 인류의 정신을 풍요롭게 라는 약자라고 하네요 

 

리디바탕 - 리디주식회사 RIDI Corporation

라이선스 안내 리디바탕 글꼴은 개인 및 기업 사용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며 자유롭게 수정하고 재배포하실 수 있습니다. 단, 글꼴 자체를 유료로 판매하는 것은 금지하며,

ridicorp.com

 

4)서울한강체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서울특별시에서 서울의 브랜드를 나타내기 위해 개발한 폰트입니다. '한강' '남산' 두가지로 나뉘는데요 남산체는 고딕, 한강체는 명조체입니다. 또 정체와 장체로 나뉘는데 정체가 장체에 비해 10% 공간이 깁니다. 

현대적인 명조 폰트로 균형감이 뛰어난 폰트입니다. ㅎ의 윗 이라던지 ㅍ의 열린 부분들이 특징인 폰트입니다. 

 

 

서울특별시 서울소개

서울시 서울소개 메뉴로 시청안내, 서울의 상징물(조례), 서울의 상징, 서울의 역사, 공약&매니페스토, 서울정보, 서울시민카드, 시민상·시민표창 등의 정보 제공

www.seoul.go.kr

 

5)마포 금빛나루체

마포 브랜드 서체 개발 프로젝트로 탄생한 폰트인데요, 지자체 최초로 개발했다고합니다? 마포구의 다양한 모습을 반영한 9종의 폰트로 구성되어있는데요 금빛나루는 그중 하나의 폰트입니다. 

위의 명조체들 보다 글자 자간(사이에 공간)이 생각보다 넓기 때문에 시원시원한 것이 특징입니다. 

 

마포의 서체 | 마포구 소개 | 마포구 소개 | 대표사이트

마포 브랜드 서체개발의 의미 마포 브랜드 서체 개발 프로젝트는 일자리 창출과 마포구 홍보 두가지를 한번에 잡을 수 있는 지자체 최초의 프로젝트다. 서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으로 체계적

www.mapo.go.kr


제가 사주 사용하는 명조체 폰트를 추천드렸습니다. 명조체는 명조체만 사용하였을 때 보다 고딕체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 느낌이 좋은 것 같습니다.

제목에 고딕을 내용에 명조를 / 또는 제목에 명조를 내용에 고딕을 해도 조합이 좋으니 조합해서 한 번 사용해보시는 걸추천드리겠습니다.

728x90